[아두이노] 불꽃감지센서, 홀센서, 기울기센서
<불꽃 감지 센서>
포토트랜지스터 사용. (pnp형, npn형)
포토트랜지스터: 빛의 세기에 따라 흐르는 전류가 변하는 광기전력효과를 이용하여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소자. 비접촉식 센서의 한 종류. 투명창을 통해 외부에서 광선이 투과할 수 있는 구조. 빛의 양에 따라 베이스 전류 결정.
빛E -> 전기 E 변환하는 광소자.
받는 광선이 많을 수록, 베이스 전류가 높을 수록 컬렉터->이미터로 흐르는 전류의 양이 많아진다.
<홀센서>
자기장의 세기와 극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.
홀 효과- 자기장 속에 있는 도체에 자기자으이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과 전류 모두에 직각 방향으로 전기장이 나타나는 현상.
홀 전압- 전류와 자기장의 세기에 비례.
[플레밍의 왼손법칙]
왼손의 중지- 전류가 흐르는 방향
왼손의 검지- 자기력선의 방향
왼손의 엄지- 자기장에 의해 받는 힘
<기울기 센서>
1. 아두이노 보드의 풀업저항인 외부 풀업저항을 사용.
2. 신호 받을 때 0과 1이 다름. 0은 26-28us, 1은 70us
3. 신호 보낼때는 하이레벨 유지시간이 다름.
4. 기울어지면 open, 개방 HIGH, 닫히면 LOW
외부 풀업저항을 사용해야 명확한 신호가 가능.
플로팅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풀업저항을 사용한다.
*플로팅 현상: 스위치 연결X일때 전류상태를 알 수 없다
플로팅 현상이 생기는 이유: 스위치 인식 X. 그래서 풀업 or 풀다운 저항을 회로에 연결.
INPUT_PULLUP -> 불규칙
INPUT -> 반복
INPUT_PULLDOWN -> 코드실행 X
-아두이노 호환보드의 MCU에서 DHT11(온습도센서)로 start signal을 보내고, 최소 18ms동안 전압을 pull down한다.
-MCU는 전압을 pull up하고, 20-40us동안 DHT11의 응답신호를 기다린다.
-DHT11은 MCU로 응답신호를 보내고, 80ns동안 유지
-DHT11은 전압을 pull up하고, 80us동안 유지
-DHT11은 데이터 전송을 시작
'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자계산기 조직응용기사 필기 공부 (0) | 2022.03.04 |
---|---|
자바공부 #1 (0) | 2021.12.09 |
한국사 정리(삼국시대) (0) | 2021.10.16 |
한국사 정리(선사 시대) (0) | 2021.10.16 |
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기출문제 파일 다운로드 (0) | 2021.10.16 |